딥시크 사태로 본 주요 '생성형 AI' 서비스들의 보안성과 특징 비교
최근 중국의 생성형 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에서 보안 문제가 제기되면서, 생성형 AI 플랫폼 전반의 보안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서비스 중인 여러 AI 플랫폼의 보안성과 특징, 그리고 이용자 수를 비교해 보자.
✅생성형 AI 서비스의 보안 문제: 왜 중요한가?
생성형 AI 서비스는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및 데이터 보안이 미흡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개인정보 유출**: AI가 입력된 데이터를 학습하며 민감한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음.
- **허위정보 생성**: 악의적인 조작으로 가짜 뉴스 및 잘못된 정보를 퍼뜨릴 수 있음.
- **저작권 침해**: AI가 기존 콘텐츠를 무단으로 학습하여 법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최근 ‘딥시크’가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사용자 데이터 보호에 실패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AI 서비스 선택 시 보안성이 중요한 고려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주요 생성형 AI 서비스별 보안성과 특징 비교
✔ ChatGPT(OpenAI)
- **보안성**: OpenAI는 사용자 데이터 보호를 위해 암호화 및 프라이버시 강화 조치를 도입함. 다만,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논란이 됨.
- **특징**: 자연어 처리(NLP) 기반의 강력한 대화형 AI. GPT-4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 **이용자 수**: 월 활성 사용자 1억 명 이상.
✔ Gemini (구글, 구 Bard)
- **보안성**: 구글은 AI의 윤리적 문제를 고려하여 필터링 및 안전장치를 강화. 하지만, 일부 콘텐츠 검열이 과도하다는 평가도 있음.
- **특징**: 실시간 인터넷 검색이 가능하며,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활용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
- **이용자 수**: 공식 집계 없음, 구글 검색 및 AI 관련 서비스와 연계되어 높은 잠재 사용자 수 보유.
✔ Claude (Anthropic)
- **보안성**: AI 모델이 윤리적으로 훈련되었으며, 데이터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에 중점을 둠.
- **특징**: 인간과의 대화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 모델. OpenAI의 ChatGPT보다 더 신중한 응답을 제공함.
- **이용자 수**: 공식 발표 없음, 다만 기업 고객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 중.
✔ DeepSeek (중국 AI 서비스)
- **보안성**: 최근 보안 이슈로 인해 신뢰도가 하락.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식에 대한 의문이 제기됨.
- **특징**: 중국 내에서 ChatGPT 대체재로 성장 중이며, 중국어 기반의 AI 서비스 제공.
- **이용자 수**: 중국 내 AI 시장에서 빠르게 확산 중이지만, 글로벌 이용자는 적음.
✔ LLaMA (Meta)
- **보안성**: 오픈소스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보안성이 달라질 수 있음. 자체적으로는 높은 수준의 안전장치를 마련.
- **특징**: 연구 및 개발자가 커스텀 AI 모델을 구축하는 데 적합한 오픈소스 AI.
- **이용자 수**: 개발자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활용 중.
✅ 생성형 AI를 안전하게 활용하는 방법
생성형 AI의 보안성을 고려할 때,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1. **민감한 정보 입력 금지**: AI 서비스에 개인 정보나 회사 기밀을 입력하지 않기.
2. **보안성이 검증된 플랫폼 사용**: 기업이나 공인 기관에서 보증하는 AI 서비스 선택.
3. **AI 서비스의 약관 확인**: AI가 사용자 데이터를 학습하는지 여부를 확인 후 사용.
📌결론
최근 ‘딥시크’의 보안 문제가 대두되면서, 생성형 AI의 보안성과 신뢰성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ChatGPT, Gemini, Claude, LLaMA 등 다양한 AI 서비스들이 보안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사용자들도 AI를 신중하게 활용해야 한다.
AI의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보안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개인 및 기업 모두 AI 활용 시 보안 리스크를 고려하는 태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