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통제

카테고리 없음
2024. 8. 13.
인간의 생명연장의 꿈(2)- 유전공학을 통한 안티 에이징
인간의 생명연장의 꿈(2)-유전공학을 통한 안티 에이징 인간의 생명연장의 꿈은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유전자 연구로 지속되어 왔다.이는 냉동인간과 같이 사후 개발될 기술을 기다리는 형태가 아니라 생존해 있는 때에 실제 생명연장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이다. 한의에는 선천지정(先天之精)과 후천지정(後天之精)이라는 용어가 있다. 여기서 선천지정은 선천적으로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정기(精氣)를 말하는 것으로 인체 구성물질의 근본이고, 생식(生殖)에 있어 근본이 되는 물질을 일컫는다. 반면 후천지정은 타고난 것이 아닌 후천적으로 만들어진 정기를 말하는데, 이는 후천적 섭생(음식·운동·수면 등)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러기에 인체의 건강을 위해서는 두 가지 측면의 접근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타고난 유..

카테고리 없음
2024. 8. 7.
'유전자 발현 통제' 가능해진 생명공학의 특이점은 언제일까
'유전자 발현 통제' 가능해진 생명공학의 특이점은 언제일까 우리는 실로 엄청난 시대를 살고 있으며 인류는 점점 다가오는 '특이점'을 향해 가고 있다. 본격적인 AI 시대가 되면서 이 시기는 가속화되고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 분야뿐 아니라 '생명공학' 분야에서도 특이점은 점점 현실이 되고 있다(물론 인공지능으로 인해 더 큰 시너지를 얻게 될 것이다). 벌써 몇십 년 전 '게놈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인간의 유전자 정보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시작됐는데, 지금은 하루면 인간의 유전자 정보가 모두 파악이 되는 시대다. 이는 모두 생명공학의 발달로 이루어진 것인데 이제 인류는 생명공학을 통해 인간의 유전자 자체를 바꿀 수 있는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노화는 어쩔 수 없는 사건 아닌 여러 작은 과정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