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카네이션/기사(Article)

인카네이션/기사(Article)
2024. 6. 28.
올해 근로·자녀장려금, 197만 근로자 가구에 1조 8000여억원 지급한다
올해 근로·자녀장려금, 197만 근로자 가구에 1조 8000여억원 지급한다 근로·자녀장려금 전년 대비 215억원 증가국세청이 197만 근로자 가구에 1조 8000여억원의 근로·자녀장려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국세청은 27일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근로자 가구의 생활 안정을 위해 2023년 귀속 하반기·정산분 장려금을 일괄 지급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지급하는 근로·자녀장려금은 197만 가구, 1조8445억원이다. 자녀장려금 최대 지급액 상향 등으로 지난해 193만 가구보다 4만 가구 늘고, 지급액도 전년(1조8230억원) 대비 215억원이 증가했다. 반기분 근로장려금을 신청한 가구(2023년 하반기 소득분에 대해 올해 3월에 신고한 가구)가 근로소득 외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5월 정기신청한 것으로 보아 ..

인카네이션/기사(Article)
2024. 6. 26.
기아 타이거즈 이대로 좋은가
기아 타이거즈 이대로 좋은가 6월 26일 현재 프로야구 1위팀은 기아 타이거즈다. 6월 중순 잠시 1위를 내어준 적 있으나 여전히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2,3위팀들을 강력하게 따돌리고 있는 독주자의 모습은 아니다. 분명 위태위태한 모습이 보인다. 올해 팀 실책이 1위권이라 다 이겨놓은 경기를 내준 적이 여러번 있다. 25일 경기에서도 그랬다. 기아는 롯데를 상대로 4회초까지 14대1로 두자릿수 스코어를 달성하며 크게 앞서고 있었다. 그런데 4회말 실책이 나왔다. 롯데 선두타자 나승엽이 3루 방면으로 빗맞은 땅볼을 치고 나가자 3루수 김도영이 침착하게 포구, 1루에 던졌으나 1루수 이우성이 잡지 못했다. 이 실책 이후 롯데는 대거 6점을 뽑아냈다. 이후 경기는 14대14 무승부를..

인카네이션/기사(Article)
2024. 6. 26.
2024 '세계혁신대학 랭킹 종합평가에서 '미네르바대학' 1위 차지해
지난 7일(현지 시각) 프랭클린대학에서 열린 제4차 한자대학동맹(Hanseatic League of Universities, HLU) 연차 콘퍼런스에서 발표된 2024 '세계혁신대학 랭킹(The World University Ranking for Innovation, 이하 WURI 랭킹)에서 '미네르바대학'이 종합평가 영역에서 1위를 차지했다. 13개 부문별로 총 14가지 랭킹 동시에 발표WURI 랭킹은 △글로벌 300대 대학 순위(Global Top 300)와 학생 지원 및 참여(Student Support and Engagement) △학생 이동성과 개방성(Student Mobility and Openness) △산업적용(Industrial Application) △기업가정(Entrepreneu..

인카네이션/기사(Article)
2024. 6. 24.
곽튜브X츠키, 세계 기사식당에서 우즈벡 여행 떠나
곽튜브X츠키, 세계 기사식당에서 우즈벡 여행 떠나 인기 유튜버 곽튜브가 출연하는 ‘곽준빈의 세계 기사식당2’가 최근 방송을 시작했다. 22일 방송된 두 번째 편에서는 여성 아이돌 그룹 빌리의 ‘츠키’가 함께했다. 곽튜브 곽준빈이 초보 여행자 츠키를 안내하는 컨셉이었는데 츠키는 가는 곳마다 현지인들의 관심을 받으며 대세 아이돌의 인기를 실감했다. 침간산 스카이 리프트 현장에서는 고소공포증이 있는 곽준빈의 모습이 방송의 재미를 더했다. 한편 여행 중 츠키는 "진짜 인생에서 우즈베키스탄에 올 줄 몰랐다. 인생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일 수도 있지 않나"라며 감동의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곽준빈의 세계 기사식당2는 EBS, ENA 공동제작 프로그램으로 EBS에서 토요일 저녁 8시 5분에 방송된다. ..

인카네이션/기사(Article)
2024. 6. 22.
제21회 ‘에너지의 날’ 행사 8월 22일에 진행된다
제21회 ‘에너지의 날’ 행사 8월 22일에 진행된다 에너지시민연대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 · 환경부 · 서울시 등이 후원하는 제21회에너지의 날 행사가 8월 22일에 진행된다. "에너지의 날"은 2003년 8월 22일에 한국 최대 전력소비를 기록한 것을 계기로, 기후변화와 에너지 절약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에너지시민연대가 매년 8월 22일로 지정한 날이다. 이 날은 '불을 끄고 별을 켜다’라는 슬로건 아래, 에너지 절약과 신재생 에너지의 중요성을 알리는 다양한 행사들이 전국적으로 개최된다. 행사에는 인간동력발전 세계기록 도전, 에너지 가요제, 별빛 음악회, 단체 줄넘기 대회, 탄소제로 푸드코트, 서울 하늘 천체관측, 거리행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여 성공적인 ..

인카네이션/기사(Article)
2024. 6. 7.
'남부내륙고속철도' 사업 2030년 개통 목표로 드디어 착공된다
'남부내륙고속철도' 사업 2030년 개통 목표로 드디어 착공된다관광객 1,000만 명 시대 기대돼가덕신공항 완공되면 시너지 효과 극대화돼 그동안 지역간 갈등, 사업계획 타당성 문제 등으로 난항을 겪어 왔던 '남부내륙고속철도' 사업의 착공이 드디어 시작된다. 남부내륙고속철도 사업은 최근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를 통과하고 2030년 개통을 목표로 내년 말 착공에 들어간다. 경북 김천시와 경남 거제시 178㎞ 구간을 잇는 남부내륙고속철도 사업은 서울에서 거제까지 2시간 대(현 서울-부산간 ktx 산천 소요시간)에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초고속 철도사업이다. 다양한 기대효과 예상돼남부내륙고속철도 사업은 대한민국의 교통 인프라를 크게 개선하는 등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시간 단..

인카네이션/기사(Article)
2024. 6. 6.
라인야후 사태 가운데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GNI), 일본을 앞지르다
라인야후 사태 가운데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GNI), 일본을 앞지르다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이 최초로 일본을 앞질렀다는 뉴스를 들으며 가슴이 벅차오름을 느낀다. 경제 규모 면에서는 몇해 전 이탈리아를 제치고 세계 10권에 들기도 했지만 경제 영역에서 일본을 앞선다는 것은 여전히 머나머 과제 같았다. 그런데 이번에 국민총생산인 GNP에서 사상 최초로 일본을 앞지른 것이다. 1인당 국민소득(GNI)으로 환산하면 3만 6194달러로 3만 5793달러인 일본을 앞지른 것이다. 거기다 환율이 안정을 보이면 수년 내에 4만 달러 달성까지 가능해 보인다는 장밋빛 전망이 나온다. 플랫폼 업체들의 역할 커질듯경제가 어렵다는 말을 계속 하지만 국가의 성장 역시 계속되고 있다. 이번 수치는 건설투자 증가와 반도체 ..

인카네이션/기사(Article)
2024. 6. 5.
드디어 한국에서 석유 시추작업 시작된다
드디어 한국에서 석유 시추작업 시작된다한국 석유개발은 박정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정부가 지난 3일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35억~140억 배럴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본격적인 탐사 시추 계획을 발표했다.최대 140억 배럴(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 수준)로 예상되는 이번 유전 탐사개발은 프로젝트명 '대왕고래'로 이름붙여졌으며, 오는 11월부터 탐사 시추를 시작하게 된다. 탐사 시추는 노르웨이의 유명 유전 개발업체인 '시드릴'(Seadrill)이 맡게 되었는데, 시드릴은 노르웨이의 선박왕 존 프레드릭센이 설립한 세계 최대 해양 시추업체로 심해 석유를 전문적으로 탐사하는 곳이다. 탐사 시추 방식그렇다면 탐사 시추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탐사 시추는 석유 퇴적물 등을 탐색할 목적으로 대..

인카네이션/기사(Article)
2024. 6. 4.
라인야후사태의 본질은 데이터 패권
라인야후사태의 본질은 데이터 패권 AI 산업의 3요소는 '하드웨어(반도체)', '인프라(클라우드, 서버)', '데이터'라고 한다. 이 3가지 요소가 잘 결합되야 AI 산업이 꽃을 피울 수 있다. 이러한 3요소가 잘 갖추어져 있는 나라가 바로 미국과 중국이다. 그래서 세계의 유수 국가들이 이 나라들과 협력하려 애쓴다. 한국 역시 미국으로부터 대규모의 반도체 보조금을 받기로 하고 미국 내 공장 건설 등 여러가지를 협력해 가고 있다. 그런데 올해 미국 IT 기업들의 일본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 1월, 거대 클라우드 업체인 아마존이 일본 AI 데이터센터 증축을 위해 21조 원 투자를 발표했다(2월에는 대만의 TSMC 반도체 공장이 일본에서 개소식을 가졌고, 2공장도 현재 건설 중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