蹂몃Ц 諛붾줈媛€湲?/a>

인카네이션/기사(Article)

‘양量'과 ‘율律’의 개념적인 것들의 질적이고 실제적인 것으로의 변화

728x90
반응형


Record_of_Water_I24_acrylic,laser_engrave_cut_가변설치_2013_install



 '과 ’의 개념적인 것들의 질적이고 실제적인 것으로의 변화

 조수민 작가의 'Record of Water展' 팔레 드 서울에서



"물의 소비와 정화에 관한 데이터를 다루면서 본인은또 관객들은 작품을 통해 자연적인 것임과 동시에 인간 산유물의 결과가 된 이들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관찰하며 경험하고읽고 추리하며 소재에 대하여 재 인식하는 계기를 갖게 될 것이다."



1. 전시소개

조수민 작가는 2014년 팔레 드 서울 신진작가 공모 당선자로, 데이터를 통한 시각화 작업을 선보인다. 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정보의 대부분은 수치화되어 있다. OECD가입국 중 몇 위인지, GDP가 얼마인지가 우리 삶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어있다. 그러나 이는 인간의 실질적인 삶과는 동떨어진 개념적이고 보편적인 약속으로 볼 수 있다. 작가는 이렇게 숫자로만 존재하는 데이터를 물질적이고 가시적인 작품으로 구현한다.


이번 전시는 소비량에 대한 정화율 주제로 다룬다. 명확하고 이성적인 수치적 의미는 작가의 해석을 통해 관람객이 주관적 감성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이 된다. 공간을 가득 채운 설치물은 그래프와 도표, 시간과 기간, 물과 정화된 물 등의 풍부한 시각적 은유가 담겨 있다. 그 시각적 해석이 구현된 이라는 개념적인 것이, 유기적인 생명체와 같은 형상으로 구현되어 질적이고 실제적인 것이 된다.

 

전시장소: 팔레드서울(통의동 6번지) B1

전시기간: 2014.06.13.-07.01.

연락처: 02)730-7707

 

2. 전시작가: 조수민

3. 전시장소: 팔레드서울 B1

4. 전시기간: 2014.06.13.-07.01.

5. 관람시간: - 10am-09pm, -일 및 공휴일 10am-07pm

 

6. 작가노트

데이터 시각화를 기반으로 하는 작업은 변화하는 우리사회 안에서 객관적인 숫자로만 존재하는 기록과 데이터를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시각적인 이미지로 변화시킨 후 이를 토대로 다양한 포맷으로 재구성한 작업이다.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근 몇 년의 축적되고 변화된 기록들은 수치화된 딱딱하고 정형화 된 디지털 형태에서 벗어나 인간 산유물의 결과라는 본연의 유기적이고 운율적인 이미지로 시각화 된다. 이는 데이터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이해시킴과 동시에 획일화된 기술사회에서 찾기 힘들었던 율동적인 요소들을 찾아내어 표현의 방법적인 면에서도 시대적인 흐름의 조화를 보여준다.

 

선진국이라 분류되는 OECD가입국 중 주제에 따라 걸러진 선택된 30개국을 대상으로 근 30년의 기록과 데이터를 작업의 주 재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산업사회로 급격히 발전하여 많은 양의 변화가 있었던 198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시기와도 일치한다. 특정화 된 (환경에 관한) 주제에 관한 기록들을 다룸으로서, 또한 직접 작품에 대해 알려주고 설명해주는 것에 앞서 관객들이 먼저 이를 추리하고 데이터를 읽어내는 과정을 유도하면서 주제에 관한 이슈를 혹은 외면했던 관심을 다시금 회기 시키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

 

이미 존재하는 소재와 이미 기록된 주제를 사선에서 바라보며 이를 재 형상화하여 여러 방식의 아웃풋과 여러 방식의 포맷을 제작한다. 다른 의미로, 기존에 인식하고 있던 정형화 된 상징(숫자, 그래프, 기호 등)과 해석을 깨면서 같은 의미에 관한 또 다른 새로운 상징(유기적 이미지, 운율과 비정형)을 구축함으로서 획일적인 소재를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한 기호학적 포스트모더니즘을 구현하고 이를 통하여 주제에 대한 본인의 해석을 전달한다. 작품으로서의 정보전달과 주제의 회기는 직접적인 수치나 사진, 또는 광고카피보다 의미 전달력 면에서 감성적으로 다가가는 진실성을 지니고 있다는 장점을 이용한 작업이다.

 

[Record of Water]

 

이번 작품은 ‘물의 소비와 그에 대한 정화율’이라는 것에 주목하였다.

생존에 있어서 필수요소인 물은 정화수의 재생에 드는 비용이 새로 생산하는 비용보다 많다는 특이점이 있다. 물의 소비와 정화에 관한 데이터를 다루면서 본인은, 또 관객들은 작품을 통해 자연적인 것임과 동시에 인간 산유물의 결과가 된 이들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관찰하며 경험하고, 읽고 추리하며 소재에 대하여 재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7. 작가 약력

 

조수민

학력

2013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the Chicago MFA (Art and Technology Studies) School of the Art

2011 Institute of the Chicago BFA

2010 단국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개인전

2014. 1 The K gallery 7회 신진작가 <Grow Out> 기획 초대전. 서울

2014. 2 Gallery Epoque 작가 지원 프로젝트 개인전. 서울

2014. 6 Gallery palais de seoul 2014 상반기 신진작가 공모 개인전. 서울

 

그룹전

2014. 4 Gallery Metanoia Korean Newcomers 한국 신진작가 7인 기획전. Paris. France

2013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MFA show. Chicago, IL. USA

2012 2nd Lartex Pro ‘Loft show’. Chicago, IL. USA.

1st  Lartex Pro. Chicago, IL. USA.

2010 Biostudio inatall. Chicago, IL. USA.

 

소장처

O-2 cool company. USA (Director. Linda Usher)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인카네이션 | 정원철 | 서울시 금천구 독산로36길 107-2 | 사업자 등록번호 : 612-92-98694 | TEL : 070-8777-1430 | Mail : jwc072@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0000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